User:Park Jueun/sandbox/Social movement theor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사회 운동 이론은 사회 동원이 발생하는 이유, 사회 동원이 나타내는 형태, 그리고 잠재적인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결과를 설명하고자 하는 사회 과학 내의 학제간 연구이다.

고전적 접근[edit]

고전적인 접근법은 세기가 바뀔 때에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동일한 인과관계의 메커니즘에 의존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회 운동의 원천은 구조적인 긴장감으로부터 옵니다. 이것은 개인들을 실업,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등 특정한 심리적 압박에 빠뜨리는 사회의 구조적 취약점입니다. 심리적 불안이 일정선에 이르게 되면, 이 긴장감은 항의와 같은 파격적 정치 참여 수단에 동참하려는 기질을 만들어 냅니다.[1] 게다가, 이러한 접근들은 공통적으로 논쟁을 유발하는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비이성적이고 관습적이지 않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항의는 상황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시도라기 보다는, 불만거리에 대한 감정적이고 좌절된 반응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2]이러한 심리학 기반 이론들은 주로 오늘날의 사회학자들과 정치과학자들에 의해 거부당해왔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감정의 중요성을 주장합니다.

구스타프 르본, 허버트 블러머, 윌리엄 코른하우저,[3] 닐 스멜서[4]의 작품들을 참조하세요.

집단 행동 이론[edit]

1900년대 초중반의 사회학자들은 움직임에 대해서,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에 감정적으로 반응하고자하는 사람들의 임의적인 발생이라고 여겼습니다. 이 연구 분야에서의 중요한 작가는 구스타브 르본입니다. 그의 책 The Crowd에서, 그는 군중의 집단적인 행동을 연구하였습니다. [5] 그는 한 번 개인이 군중 속에 잠기게 되면  그의 행동이 원시적·비이성적이 되고, 자발적인 폭력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한 조건에서 일어납니다. 한 개인이 군중 속에 스스로를 잠기게끔 하면, 그들은 익명성을 얻게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군중 속에서 그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게 한다는 믿음을 초래합니다. 이것은 군중의 한 부분이 됨으로써 비가시적인 감각과 결합되었습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비판적인 추리는 불가능하게 되고, 무의식적인 성격이 나타나게 됩니다: 파괴적인 본능과 원시적인 신념에 의해 지배된 성격을 말합니다.[6] 이 이론은 허버트 블러머나 닐 스멜서와 같은 다른 이론가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습니다. [4]

사회운동을 연구한 초기 사회과학자 구스타브 르본

대중 사회 이론[edit]

대중 사회 이론은 1930년대와 1940년대 파시스트공산주의 운동의 여파로 생겨났으며, 극단주의의 부상과 전파를 설명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이 극단주의에 더 취약하다는 것이 대중 사회 이론의 중심 주장입니다.[7]

이 이론의 중요한 밑바탕은 에밀 뒤르켐현대사회 분석과 개인주의의 대두입니다. 뒤르켐은 산업 사회의 출현이 두 가지 문제를 발생시켰다고 말했습니다:

  • 아노미(무규범): 현대 사회가 확장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행동을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 불충분했습니다.
  • 에고이즘(이기주의): 지역 사회의 약화로 인한 지나친 개인화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들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를 약화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뒤르켐에 따르면, 이것은 자살과 같은 역기능의 행동을 초래할 것이라고 합니다. [8] 

아서 콘하우저는 그의 저서 "The Politics of Mass Society(대중사회의 정치)"에서 이 이론을 사회운동에 적용했습니다. 그는 대중 사회에서 아노미(무규범)와 에고이즘(이기주의)이 소규모 지역 집단과 네트워크를 쇠퇴하게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강력한 엘리트들, 대규모의 관료들 그리고 고립된 개인들 뒤에 남은 것은 무엇일까요? 이러한 사회에서는 완충역할을 하는 중간층이 엘리트와 비엘리트 사이에서 서서히 약화되고, 비엘리트가 엘리트에게 영향을 끼치는 정상적인 방법들의 효율이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이것은 비엘리트들로 하여금 더 소외감을 느끼게 하고, 따라서 극단주의에 더 취약하게 만듭니다.[9]

상대적 박탈감[edit]

사람들은 박탈감이나 불평등의 감정 외에도, 특히 (1) 다른 사람들이나 (2) 그들의 기대로 인하여 어떠한 움직임으로까지 내몰리게 됩니다. 첫 번째 관점에서, 참가자들은 자신보다  많은 권력과 경제적 자원 혹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보고, 그들 자신을 위해서 우위의 사람들이 가진 것과 같은 것들을 습득하려기 위해 노력합니다.  두 번째 관점에서,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던 상황(특히 경제의 개선 부분)이 멈추고 역으로 악화될 때 반항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이 관점에서, 사람들의 기대가 그들의 실제 물질적 상황("J-curve 이론"이라고도 함)보다 커졌을 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운동에 동참할 것입니다. 제임스 데이비스, 테드 구르[10], 그리고 덴튼 모리슨의 작품을 참고하세요.

현대적인 접근 방식[edit]

1960년대에 유럽과 미국 양쪽에서 사회 운동 활동이 이전보다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와 함께 사회 운동을 둘러싼 대중들의 인식도 변화하였습니다. 시위는 이제 정치를 낫게 만들뿐 아니라 건강한 민주주의에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더이상 고전적인 접근은 사회 운동에서의 이러한 증가를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고전적 접근 방식의 핵심 원칙은 시위가 사회 구조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의해 열린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 운동의 성장에 있어 복지 감소보다 성장이 선행되는 것을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2]

더이상 박탈감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 탓에,  연구원들은 다른 논리를 찾을 필요가 있었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발전된 논리가 서로 달랐는데, 미국 중심의 구조적 접근법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의 특성이 어떻게 시위를 가능하게하거나 방해하는지에 초점을 두었습니다.[11] 반면 유럽 중심의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은 계급 투쟁이 사회 운동의 중심이라는 개념을 거부하고 성별, 민족성 또는 성적 성향과 같은 집단적인 정체성의 지표를 강조하였습니다.[12]

구조적 접근법[edit]

정치적인 기회/정치적인 과정[edit]

특정한 정치적 맥락은 잠재적인 사회 운동 활동에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특정한 사회운동이나 일반적인 사회 활동들을 선호할 수 (혹은 싫어할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활동가 혹은 사회운동의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허락하는 분위기로 시사될 수 있습니다(합법성의 문제); 또한 정치적 양보와 사회 운동 참여 혹은 사회 운동 조직의 설립을 통해 정치적 기회가 실현될 수 있습니다. 그 기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치적 의사 결정 권한에 대해 높아진 접근성
  2. 엘리트 세력의 지지 불안정성(혹은 엘리트 간 갈등)
  3. 엘리트 동맹에 접근(따라서 그 투쟁에서 움직임을 도울 수 있음)
  4. 반대파를 억누를 수 있는 국가의 능력과 성향의 저하[13][1][14][15]

자원 동원[edit]

사회운동은 무엇보다도 조직이 필요합니다. 조직들은 그들의 잘 짜여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습득한 후 배치할 수 있습니다. 사회에서 특정 그룹에 대한 선호가 항의로 바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이론가들은 이 그룹 내 선재하는 조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사회 운동과 관련된 인구가 이미 고도로 조직화되었을 때, 고도의 조직이 되면 필요한 자원들을 동원하기 더 쉬워지기 때문에 그들은 조직적인 형태의 항의를 만들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16]이 이론의 일부 버전에서는 사회운동이 가용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자본주의 기업들과 비슷하게 작동한다고 말합니다.[17] 학자들은 다섯 종류의 자원에 대한 분류 체계를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1. 물질적인(금전 및 물적 자본);
  2. 도덕적인(결속력, 사회운동 목표에 대한 지지);
  3. 사회조직적인(조직 전략, 사회 연결망, 연합 신규모집);
  4. 인간적인(자원봉사자, 직원, 지도자);
  5. 문화적인(선대 활동가들의 경험, 이슈에 대한 이해, 집단 행동 노하우)[18]

사회 운동 영향 이론[edit]

이 작업의 핵심은 사회 운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어떤 요소들이 그러한 영향을 초래했는지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사회 운동은 개인,[19] 제도, [20]문화,[21] 혹은 정치 체제[22]에서 그 효과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정치적 영향 분야가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동안, 다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적어도 그만큼 중요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 이론은 많은 방법론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회운동 이론의 주요 분야 중에서 가장 적게 연구되어왔습니다. [23]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폭력의 효과, [24]엘리트와 정치적 동맹의 중요성, [25]그리고 전반적인 대중운동 기관에 대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26]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방식[edit]

새로운 사회운동[edit]

유럽에 영향을 받은 이 이론 집단은 오늘날의 사회운동이 과거와 완전히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계급 분쟁에 관여하는 노동 운동 대신, 현재의 운동(반전, 환경, 시민 권리, 페미니스트 등)은 사회 정치적 분쟁에 종사합니다(알랭 투렌 참조). 운동 참여의 동기는 탈물질주의 정치와 새롭게 창조된 정체성의 형성이며, 특히 "새로운 중산층"의 형성입니다.  또한 로날드 잉글하트, 위르겐 하버마스, 알베르토 멜루치[27], 그리고 스티브 부쉴러의 작품을 참조하십시오. 이 연구는 찰스 틸리와 같은 미국의 저명한 학자들 사이에서도 정체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습니다.

1990년대 사회과학 연구[edit]

In the late 1990s two long books summarized the cultural turn in social-movement studies, Alberto Melucci's Challenging Codes and James M. Jasper's The Art of Moral Protest. Melucci focused on the crea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as the purpose of social movements, especially the "new social movements", whereas Jasper argued that movements provide participants with a chance to elaborate and articulate their moral intuitions and principles. Bot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motions in social movements, although Jasper developed this idea more systematically. Along with Jeff Goodwin and Francesca Polletta, Jasper organized a conference in New York in 1999 that helped put emotions on the intellectual agenda for many scholars of protest and movements.[28] He has continued to write about the emotional dynamics of protest in the years since.

In 1999, Goodwin and Jasper published a critique of the then-dominant political opportunity paradigm, using Jasper’s cultural approach to show that political opportunity was too structural as a concept, leaving out meanings, emotions, and agency. Charles Tilly and a number of other scholars responded, often vituperatively.[29]

In The Art of Moral Protest Jasper also argued that strategic interaction had an important logic that was independent of both culture and structure, and in 2006 he followed up on this claim with Getting Your Way: Strategic Dilemmas in Real Life, which developed a vocabulary for studying strategic engagement in a cultural, emotional, and agentic way. By then, his theory of action had moved closer to pragmatism and symbolic interactionism. In the same period, Wisconsin social theorist Mustafa Emirbayer had begun writing in a similar fashion about emotions and social movements, but more explicitly deriving his ideas from the history of sociological thought. In France, Daniel Cefaï arrived at similar conclusions in Pourquoi se mobilise-t-on?, a sweeping history and synthesis of thought on collective action and social movements.[30]

Relevant concepts[edit]

Framing[edit]

Certain claims activists make on behalf of their social movement "resonate" with audiences including media, elites, sympathetic allies, and potential recruits. Successful frames draw upon shared cultural understandings (e.g. rights, morality). This perspective is firmly rooted in a social constructivist ontology. See the work of Robert Benford and David A. Snow.[31] Over the last decade, political opportunity theorists have partially appropriated the framing perspective. It is called political theory of a social movement.

Rational choice[edit]

Under rational choice theory: Individuals are rational actors who strategically weigh the costs and benefits of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 and choose that course of action which is most likely to maximize their utility. The primary research problem from this perspective is the collective action problem, or why rational individuals would choose to join in collective action if they benefit from its acquisition even if they do not participate. See the work of Mancur Olson,[32] Mark Lichbach,[33] and Dennis Chong.[34] In Theories of Political Protest and Social Movements, Karl-Dieter Opp incorporates a number of cultural concepts in his version of rational choice theory, as well as showing that several other approaches surreptitiously rely on rational-choice assumptions without admitting it.[35]

References[edit]

  1. ^ a b McAdam, Doug (1982). Polit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Black Insurgency, 1930-197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 a b Stekelenburg, J. van en Klandermans, B. (2009). “Social movement theory: Past, present and prospect”, Movers and Shakers, 17-43.
  3. ^ Kornhauser, William. The Politics of Mass Society. Glencoe, Ill.: The Free Press, 1959.
  4. ^ a b Smelser, Neil J. 1962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London: Collier-Macmillan.
  5. ^ LeBon, G. (1897). The Crowd. Lonon: Unwin.
  6. ^ McPhail, C. (1989). Blumer's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The Development of a Non-Symbolic Interaction Explana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30(3): 401-423.
  7. ^ Buechler, S. M. (2013). “Mass society theory”. In: The Wiley‐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New Jersey: Blackwell Publishing.
  8. ^ Durkheim, E. (1897) Suicide. Free Press, New York.
  9. ^ Kornhauser, W. (1959) Politics of Mass Society. London: Routledge.
  10. ^ Gurr, Ted. Why Men Rebe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11. ^ Carroll, W. K. en Hackett, R. A. (2006). “Democratic media activism through the lens of social movement theory”, Media, Culture and Society, 28(1): 83-104.
  12. ^ Buechler, S. M. (1995). “New Social Movement Theories”, The Sociological Quarterly, 36(3): 441-464.
  13. ^ Meyer, David S.; Debra C. Minkoff (2004). "Conceptualizing Political Opportunity" (PDF). Social Forces. 82 (4): 1457–92. doi:10.1353/sof.2004.0082.
  14. ^ Meyer, David S. (2004). "Protest and Political Opportuniti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0: 125–145. doi:10.1146/annurev.soc.30.012703.110545.
  15. ^ Goodwin, Jeff; Jasper, James M. (1999). Caught in a Winding, Snarling Vine: The Structural Bias of Political Process Theory. Sociological Forum.
  16. ^ Van Stekelenburg, J.; Klandermans, B. (2009). "Social movement theory: Past, present and prospect". Movers and Shakers: Social Movements in Africa: 17–43.
  17. ^ McCarthy, John D.; Mayer N. Zald (1977). "Resource Mobilization and Social Movements: A Partial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 (6): 1212–41. doi:10.1086/226464.
  18. ^ Edwards, Bob; John D. McCarthy (2004). "Resources and Social Movement Mobilization". In Snow; Soule; Kriesi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Social Movements. Oxford: Blackwell. pp. 116–52.
  19. ^ McAdam, Doug. The biographical impact of activism.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20. ^ Moore, Kelly. "Political protest and institutional change: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and American science." How social movements matter 10: 97. 1999
  21. ^ Ferree, Myra Marx and Beth B. Hess. Controversy & Coalition: The New Feminist Movement across Three Decades of Change, New York: Twayne Publishers. 1994.
  22. ^ Amenta, Edwin, and Neal Caren, Elizabeth Chiarello, and Yang Su.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Social Movement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6: 287-307. 2010.
  23. ^ Giugni, Marco, Doug McAdam, and Charles Tilly. How Social Movements Matter. Minneapolis, MN.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1999.
  24. ^ Gamson, William. Strategy of Social Protest.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75.
  25. ^ Soule, Sarah A., and Susan Olzak. "When do movements matter? The politics of contingency and the equal rights amend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9.4: 473-497. 2004.
  26. ^ Amenta, Edwin, and Neal Caren, Elizabeth Chiarello, and Yang Su.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Social Movement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6: 287-307. 2010.
  27. ^ Melucci, Alberto (1989). Nomads of the Present: Social Movements and Individual Needs in Contemporary Society.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28. ^ Jeff Goodwin, James M. Jasper, and Francesca Polletta, eds., Passionate Polit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29. ^ The original debate was later published, with additional contributions, as Jeff Goodwin and James M. Jasper, eds., Rethinking Social Movements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2004).
  30. ^ Paris: La Découverte, 2007.
  31. ^ Benford, Robert D.; David A. Snow (2000). "Framing Processes and Social Movements: An Overview and Assessment" (PDF).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611–639. doi:10.1146/annurev.soc.26.1.611.
  32. ^ Olson, Mancur.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33. ^ Lichbach, Mark. The Rebel’s Dilemma.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5.
  34. ^ Chong, Dennis. Collective Action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35. ^ Karl-Dieter Opp, Theories of Political Protest and Social Movements (New York: Routledge, 2009).

Category:Sociological theories *1